포스트콜로니얼 성서 해석
제 1장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해석을 위하여
1. 식민지 과거에 대한 역사 인식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비평은 한국사회와 성서학계에 끼친 일제 식민주의 잔재와 그 영향을 연구하게 될 것이다.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해석은 일제 식민지 담론으로부터 문화적, 담론적 그리고 심리학적 탈식민지화와 해방을 제안하게 될 것이다. 그것은 또한 우리나라의 성서학계의 유럽-미국의 해석학적 방법들과 관점들을 분석하게 될 것이다. 그것은 우리나라의 그리스도인과 성서학계를 위한 하나의 대안적 해석학적 접근을 제안하게 될 것이다.
포스트콜로니얼 성서해석에 영감을 준 3가지
1) 우리나라가 경험했던 일제 식민주의에 대한 인식
2) 한국 그리스도인의 성서읽기와 해석을 적절하게 고찰하기 위해서
3) 일제 식민주의와 그 영향 아래에 있었던 서구 선교사들의 신학적, 성서적 그리고 정치적 입장을 고찰하는 것
일제 식민주의자의 관점, 한국의 피식민지인의 관점 그리고 서구 선교사들의 관점들과 성서해석을 다룰 때 민족주의와 여성 그리고 재현과 같은 포스트콜로니얼 주제와의 관련을 발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누가-행전의 민족주의, 여성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과 같은 주제를 포스트콜로니얼 주제와의 적합성을 고찰하면서 적용하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2. 유럽-미국의 방법에 대한 성서적 의존성
한국 그리스도인들은 서구 선교사들의 신학적 교육과 근본주의적 성서 읽기와 해석을 통한 신학적이며 성서적 식민지화에 직면해 있었다는 사실을 지적하는 것은 중요하다. 아직도 그 서구 국가들의 성서해석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고, 그러한 해석학적 비평은 ‘타자(비서구)’의 눈을 통해서 서구를 바라보는 것을 실패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제 우리의 해석학적 관점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우리의 경험, 문화 그리고 역사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두베가 지적하는 것처럼, “성서 비평의 미래 과정과 역할은 우리의 역사, 우리의 경험 그리고 문화적이고 경제적 해방을 위한 우리의 탐구에 의해서 형성되어야만 한다.
대안적 읽기 실천이란 서구 중심적 문화와 사고에 과도하게 치우친 유럽-미국의 성서 읽기와 해석학적 관점을 다시 읽고 재해석하는 것이다.
3.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해석과 누가-행전
(1)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해석 방법
이 연구 방법은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읽기의 빛에서 누가-행전과 누가 연구자들의 해석학적 경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다. 민족주의, 여성 그리고 재현과 같은 주제는 포스트콜로니얼 담론뿐만 아니라 누가-행전에서도 주용한 주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누가의 신학적 견해뿐만 아니라 누가 연구자들의 해석학적 관점과 위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안적 읽기 실천으로서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읽기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에서 주목해야 할 세 가지 : 해석자의 위치, 주변 인물과 숨겨진 목소리, 해방적 측면으로부터 억압적 측면을 구별하는 시도.
이 연구의 목적은 식민주의자, 힘 있는 사람들, 중심에 있는 사람들의 관점으로부터 피식민주의자, 힘없는 사람들, 주변에 머물러 있는 사람들의 관점으로 인식론적 전환을 제안하는 것이다.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해석은 혜택을 받지 못했던 사람들의 관점을 고려하는 대안적이고 보다 더 함축적 읽기 실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편적이고 결정적인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해석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하나의 대안적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읽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2)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읽기와 누가-행전
누가-행전에 나타난 민족주의의 해방적 측면을 조사하고, 누가의 신학적 위치를 조사할 것이다. 간략하게 여성 해방적 성서 읽기와 포스트콜로니얼 여성 해방적 성서 읽기를 살펴볼 것이다. 여성에 관한 누가의 신학적 태도뿐만 아니라 누가 연구자들의 해석학적 관점들을 조사하게 될 것이다.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읽기의 빛에서 성서와 해석의 인종중심주의적이고 남성중심주의적 읽기를 부인하면서 성서와 해석의 대안적 읽기를 주창할 것이다.
제 5장 한국사회와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해석
1.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해석의 몇 가지 통찰
해석자의 위치, 숨은 목소리 발견, 성서 안에서 식민지적 경향 분석, 성서 읽기와 해석의 다양성 제안, 한국상황에 대안적 성서 읽기
2.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해석의 적용과 한계
반-식민 저항 운동에 대한 명료한 합의가 없다.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의 이론화 과정에서 해방과 저항의 담론적이고 실천적 정신의 상실을 인정하게 된다. 이론화 추구는 식민주의의 단계를 따르게 된다.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의 목적은 식민지적이고 제국주의적 가설들과 의도에 대항하는 저항적이고 전복적 담론 실천이며 또한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해방시키려고 노력하는 포스트콜로니얼 관심의 끊임없는 자기반성과 자기비판을 실천하는 것이다.
이러한 성서 비평을 적용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질문들..
-성서 학계에 포스트콜로니얼 비평이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비평은 유럽 – 미국의 주도적 해석학적 방법들을 대체하는가?
-포스트콜로니얼 성서 해석은 성서학계의 성서학자들에게 어떤 통찰을 제공할 수 있는가?
-포스트콜로니얼 성서해석은 비서구인과 서구인 모두를 위한 대안적 읽기 실천인가?
답변 : 인식론적 전환과 해석학적 전이는 성서학계에서 주목할 성서 읽기와 비평. / 숨은 목소리 주목 . 억압으로부터 해방으로, 식민지 본국의 중심에서 식민지 주변부로의 인식론적 경향과 해석학적 관점의 전환을 통해 실제화 될 수 있다. /
'교육 및 훈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이의 정치와 정의(서평) (0) | 2020.09.01 |
---|---|
성서에서 만나는 다문화 이야기(서평) (0) | 2020.09.01 |
[제직교육] 교회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0) | 2020.04.18 |
[제직교육] 복음이란 무엇입니까? (1) | 2020.04.18 |
[제직교육] 누구를 위해 사십니까? (2) | 2020.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