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신약의 파노라마(데살로니가후서 디모데전후서 디도서) 데살로니가 후서를 소개합니다. 1. 사도 바울이 데살로니가전서를 보내고 몇 달 후 두 번째 편지를 쓰게 되 었습니다. 사도 바울의 편지로 인하여 모든 교인들이 위로와 격려를 받았 지만 종말에 관한 오해로 인하여 문제가 생겼습니다. 그리하여 사도 바울 은 데살로니가후서를 통하여 재림에 관한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2.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데살로니가 교인들의 오해는 대체로 세 가지였습 니다. 첫째는 재림을 기다리기 위하여 생업을 포기한 사람들의 문제이며, 둘째는 재림을 고대하며 책임과 의무를 회피하고 무위도식하는 문제, 셋 째는 휴거되지 못할 것에 대한 두려움입니다. 성경은 전체적으로 종말과 관련하여 “그리스도의 날”과 “여호와의 날”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 습니다. 전자는 주님이 다시 오실 때 구원받은.. 더보기
신약의 파노라마(갈라디아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갈라디아서를 소개합니다. 1. 갈라디아서는 사도 바울이 1차 전도여행에서 설립한 교회들(안디옥, 이고 니온, 루스드라, 더베)이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하여 권면을 하고 있다. 2. 사도 바울이 1차 전도여행을 통하여 세운 교회들 안에는 유대주의자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을 믿어 그리스도인들이 되었지만, 여전히 구 약의 많은 의식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할례를 받아 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를 위하여 바울의 사도권을 인정하지 않았습니 다. 이에 대해 사도 바울은 자신의 사도권을 변론하며, 유대주의의 문제 점을 지적하고, 또한 율법으로부터의 자유를 방종의 기회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A.D. 50년경에 수리아 안디옥이나 또 는 고린도에서 기록되었을 것으로 추정.. 더보기
신약의 파노라마(로마서 고린도전후서) 로마서를 소개합니다. 1. 로마서를 기록한 사람은 사도 바울인데 이 책에서는 죄와 율법, 그리고 죽음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비밀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2. 사도 바울이 로마서를 쓰게 된 세부적인 이유는 스페인 선교를 위하여 로 마 방문을 준비하기 위한 것과 신앙교육을 체계적으로 받지 못한 교인들 을 가르치기 위한 것, 그리고 유대인과 이방인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계획 을 설명하기 위함입니다. 이 책은 사도 바울이 3차 전도여행을 마친 A.D. 57년 경에 기록되었습니다. 3. 로마서를 기록한 목적은“죄와 율법, 그리고 죽음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을 증거 하는 것입니다. 4. 로마서의 주요내용은 “빚진 의인은 죄아래 정죄받지만, 율법을 통해 죄에서 의롭게 되는 믿음의 능력은 성령의 도우심으로 합력하.. 더보기
신약의 파노라마(요한복음 사도행전) 요한복음을 소개합니다. 1. 사도 요한(JOHN)은 자신이 최후의 만찬에 참여했으며, 베드로와 친한 동 료였다는 사실을 밝히므로 이 책의 저자임을 드러냅니다. 2. 사도 요한은 세베대의 아들이었고, 야곱의 형제였습니다.(마4:21) 예수님께서는 이 두 사람에게 “우뢰의 아들”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셨는데(막3:17) 요한은 세 개의 서신들과 계시록, 그리고 요한복음을 기록했습니다. 에베소에서 사랑받는 목회자였으며, 그 후(AD95) 도미티안 황제에 의해 밧모섬으로 귀양가게 되었고, 거기서 계시록을 쓰게 되었습니다. 3. 요한이 복음서를 기록한 목적은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어 생명 을 얻게 하려는 것입니다.(요20:31) 4. 요한복음의 주요 내용들은 “제(자)물포 성전에서 거듭나고 영생을 얻어, 하.. 더보기
신약의 파노라마(마가복음 누가복음) 마가복음을 소개합니다. 1. 마가(MARK)의 이름은 요한(행13:5,13) 또는 요한 마가(행12:25,15:37)로 도 불리는데 요한은 히브리식 이름이고, 마가는 로마식 이름입니다. 2. 마가는 예수님의 직계 제자는 아닙니다. 그는 베드로의 제자로서, 사도 베 드로는 그를 아들이라고 불렀습니다.(벧전5:13) 그는 바울과 바나바와 함 께 1차 전도여행을 함께 했는데(행13:5) 도중에 전도를 그만두고 예루살 렘으로 돌아가 버렸습니다. 이 일로 바울은 2차 전도여행에 그를 데려갈 수 없다하여 그는 바나바와 함께 구브로(Cyprus) 섬으로 가서 전도했습 니다.(행15:37~39) 후에 바울이 로마 감옥에 있을 때 마가는 그의 곁에 있었습니다.(골4:10,몬1:24) 마가복음은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된 A.. 더보기
신약의 파노라마(개론 마태복음) 신약성경 파노라마(개론) 1. 신구약 중간시대를 소개합니다. 1) 400년의 공백 기간이 있습니다. 구약의 마지막 책인 말라기와 신약의 첫 번째 책인 마태복음 사이에는 400년의 기간이 있습니다. 이 시기를 아는 일은 신약성경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2) 이스라엘의 상황 B.C. 587년 바벨론은 예루살렘 성전을 파괴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을 포로로 끌고 갔습니다. 그러나 다니엘의 예언처럼(단2,7장) 바벨론은 메데-바사제국에게 멸망하고 말았습니다. 바사왕 고레스는 유대인들이 고국에 돌아가 성전을 건축하도록 허락했으며, 스룹바벨의 지도하에 성전은 재건되었습니다.(B.C.515년) 이 때 에스라를 중심으로 예배가 되었고, 12년 후에 느헤미야는 성벽을 재건했습니다. 3) 정치적인 배경 신구약 중간.. 더보기
구약의 파노라마(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 스바냐서를 소개합니다. 1. 스바냐(Zephaniah)서는 “하나님이 숨기시다.”는 뜻을 가진 본문의 주인 스바냐의 이름에서 온 것으로 히스기야의 현손이며, 예레미야와 동시대 인물이다. 2. 스바냐서는 요시야 왕(B.C.640~609)때의 선지자로 바벨론 포로 이전의 소선지자들 가운데 마지막 선지자였다. 그는 왕족출신으로 당시의 지도자 들을 혹독하게 책망했으며, 요엘 스바냐와 같이 유다의 심판을 예언했다. 3. 스바냐서의 주제는 “회개를 통한 구원”이다. 4. 스바냐서의 내용은 유다의 심판, 회개 권면, 이방나라의 심판, 구원과 회 복이다.(유 1회적인 권면은 이심전심으로 구원과 회복을 이루었습니다.) 5. 스바냐서의 세부적인 내용은 1장 : 유다에 임할 심판 2:1~2:3 : 회개 권면 2:4~3:8 .. 더보기
구약의 파노라마(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오바댜서를 소개합니다. 1. 오바댜(Obadiah)서는 “주님의 종”,“여호와를 예배하는 자”라는 뜻을 가진 본문의 주인공 선지자 오바댜의 이름에서 온 것으로 남왕국 유다에 서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2. 오바댜서는 여호람이 유다를 통치하던 (B.C.848~841) 중 블레셋과 아라 비아가 예루살렘을 침공했던 시기에(대하21:16~17) 기록되었다. 그러므 로 엘리사와 동시대 인물이며, 요엘보다는 더 이른 시대에 활동했을 것으 로 여겨진다. 3. 오바댜서의 주제는 “에돔 족속에 대한 심판”입니다. 4. 오바댜서의 내용은 에돔의 멸망과 이스라엘의 회복입니다. 5. 오바댜서의 세부적인 내용은 1:1~9 : 에돔의 멸망 1:10~14 : 에돔의 죄 1:15~16 : 열방에 대한 심판 1:17~21 : 시온에.. 더보기